전기차의 보급이 점차 늘어나면서 배터리와 관련된 안전성에도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습니다. 정부에서는 전기차의 안전과 관련한 신뢰를 확보하면서 소비자의 불안감도 해소하는 방향으로 전기차의 배터리 관리 제도를 도입합니다.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정부는 전기차의 배터리 안전성을 미리 인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기존에는 제조사 자체적으로 배터리 안전성을 인증하는 자기인증 방식으로 진행하고, 정부에서는 사후에 점검하는 방식으로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는데 문제가 있었습니다.
제조사에서 배터리 인증 신청부터 적합성 검사까지의 5단계의 절차를 통해서 국토교통부장관의 최종 승인을 받은 경우에 전기차 판매가 가능합니다. 부적합 판정, 인증과 다르게 제작하면 시정조치를 받게 됩니다.
인증절차
안전성 시험 >> 인증서 교부 >> 안전성 인증 표시·판매 >> 적합성 검사 >> 부적합시 시정 명령
배터리 이력관리제
자동차를 신규로 등록할 때 배터리에 개별 식별번호가 부여됩니다. 자동차등록부에 등록하도록 했습니다. 소비자는 배터리 정비 이력과 검사, 리콜 등의 관리를 수월하게 인지할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전기차 사고 시 배터리 식별번호를 통해 문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배터리 교체 시
교체된 배터리의 식별번호를 변경 등록합니다. 리콜의 경우 자동차 결함정보시스템과 연계되고, 소비자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배터리의 이력을 불편함 없이 확인 할 수 있도록 할 것 입니다. 배터리 관리는 쉬워지고, 중고 배터리 거래도 투명하게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