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자동차는 전륜구동 방식을 기본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출시하는 대부분의 전기차는 후륜구동이 기본인 모델들이 많습니다. 전기차는 후륜구동이 기본인 모델이 많은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구동방식
자동차의 구동방식을 살펴보면 FF(전방 엔진, 전륜 구동), FR(전방 엔진, 후륜 구동), AWD(사륜구동) 등으로 나눠집니다. 이 중에서 대부분의 내연기관 자동차는 FF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FF 방식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이유는 엔진과 구동부가 모두 앞쪽에 있어 설계적으로 용이하고, 같은 차체 크기에서 타 구동 방식보다 넓은 실내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기차는 후륜구동 방식
최근 출시하는 전기차의 경우 내연기관 자동차와 반대로 후륜 구동을 기본으로 채택하는 모델이 많습니다. 바로 전기차의 구조적인 단순함 덕분에 가능한 일입니다. 최근 전기차 플랫폼은 어렸을 적 가지고 놀았던 미니카의 구조와 매우 유사합니다. 차량 중앙 바닥에 배터리가 위치하고, 구동부에 구동모터가 장착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전기차의 간단한 구조
내연기관 자동차와 비교하면 RR 구조와 비슷한데, 전기차의 구동모터는 엔진처럼 냉각 설계가 복잡하지 않습니다. 덕분에 엔지니어링 부분에서 내연기관 자동차 대비 간단하며, 넓은 실내공간까지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닛 안쪽에 엔진이 사라진 공간은 추가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AWD 모델의 경우에도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앞쪽에 구동모터를 추가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때문에 승객이 탑승하는 공간에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습니다. 덕분에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활용하기 때문에 AWD 옵션을 선택해도 평평하고 넓은 바닥 공간을 누릴 수 있습니다.
대세는 후륜구동
모든 전기차가 후륜 구동방식을 기본으로 하는 것은 아닙니다.여전히 내연기관 차량을 기반으로 개발된 파생형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마찬가지로FF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또한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활용하지만,전륜구동을 채택한 모델도 일부 존재합니다. 하지만 후륜구동 전기차는 뛰어난 운동성능을 갖춘 후륜구동 차량의 장점과 넓은 공간 확보가 용이한 전륜구동 차량의 장점을 모두 가졌기 때문에 전기차 시대에는 후륜구동 모델이 대세일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