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겨울 대비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TPMS) 표시 대처 방법

by 빠따띠 2024. 11. 5.

 

자동차 계기판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있습니다. 기온이 급격하게 변화하거나 겨울처럼 추워지면 점등될 수 있는 경고등입니다.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떴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대처 방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썸네일 TPMS 표시
TPMS 대처방법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TPMS)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는 자동차가 스스로 타이어 공기압을 점검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입니다.

 

 

TPMS는 타이어 휠 내부에 장착된 센서가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과 온도를 측정해 이 정보를 무선으로 실시간 타이어의 압력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타이어 공기압 점검
타이어 공기압 점검

경고등 표시 이유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TPMS)의 점검을 받고도 경고등이 뜨기도 하고, 수리를 해도 경고등이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TPMS)이 뜨는 대표적인 원인은 크게 4가지 정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기온의 변화, 타이어 펑크, 공기압 감지 센서, 송수신 시스템 오류 등이 있습니다.

 

◎ 기온 변화

TPMS 기능에 이상이 없어도 경고등이 뜬다면 급격한 기온 변화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추워지는 환절기와 겨울에 온도와 비례하며 일시적으로 타이어 공기압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타이어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 타이어 펑크

타이어가 펑크는 육안으로도 확인이 가능한 부분인데, 펑크로 인해 공기압이 저하되면 경고등이 뜹니다. TPMS 경고등은 타이어 적정 공기압 대비 약 25% 이하가 되었을 때 계기판에 표시됩니다. 타이어 펑크나 미세한 틈이 생겼을 때 지속적으로 공기가 새면서 경고등이 뜨게 되는 것입니다.

 

◎ 공기압 감지 센서

펑크 난 타이어를 수리해도 TPMS 경고등이 계속 뜬다면 타이어를 수리하는 데 사용된 봉합제(실란트)가 감지센서와 휠에 묻으며 센서 기능을 방해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겨울에 스노우 체인을 장착한 경우에도 시스템이 방해를 받으며 일정 기간 TPMS 경고등이 켜질 수 있습니다.

 

◎ 송·수신 시스템 오류

주행을 하다가 경찰서, 군부대, 방송국 등 특정 건물을 지나면 TPMS 경고등이 켜지는 경우, 경험 할 수 있는데, 타이어 송신 시스템이 방해를 받아 일시적으로 켜진 경우로 대부분 해당 구간을 지나가면 문제는 해결됩니다.

 

 

대처 방법

만약에 대비해 속도를 서서히 낮추고 급커브나 과속은 자제해야 합니다. 그리고 안전한 갓길 등 장소에 정차한 다음 타이어에 이상이 없는지 육안으로 확인합니다.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 타이어에 이물질이 박혀 있거나 펑크가 난 것을 발견했다면 보험사와 견인을 부르고 정비소에 방문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경고등이 지속적으로 켜진다면 안전을 위해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타이어 적정 공기압 수치는 차량 운전석 안쪽이나 연료 주입구 안쪽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TPMS 사용 이유

타이어 공기압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으면 차가 통통 튀거나 흔들리면서 타이어 트레드의 마모 심해질 수 있습니다. 1990년 미국에서는 타이어 트레드로 인해 대형사고가 발생하자 타이어 공기압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TPMS)을 의무화하는 안전표준이 만들어졌습니다.

 

이후 2007년 미국에서는 TPMS가 의무화가 되고, 국내에서는 2013년 1월부터 생산하는 모든 승용차와 3.5t 이하 승합·화물·특수차에 TPMS를 장착하기 시작했습니다.

 

계속해서 날씨가 추워지면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TPMS)이 점등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온 변화로 인한 TPMS 점등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봐도 됩니다. 하지만,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기 전에 타이어 공기압을  점검받아 봐도 좋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