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세차는 매우 힘들다. 추운 날씨도 문제지만,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동파를 우려한 주유소와 세차장 상당수가 자동세차기 운영을 멈춘다.
따뜻한 시간에
겨울철 세차는 온수가 제공되는 실내 세차장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야외 세차를 하게 된다면,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은 오후 1시~3시경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영하의 날씨에 물을 뿌리면 자동차 표면에 얇은 얼음막이 빠르게 형성된다. 솔이나 워시미트를 문지르면 세척이 잘 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얼음 제거 과정에서 도장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도 있다.
얼음이 생겼다면
얼음이 생겼다면 긁어내지 말고 미지근한 물이나 에어블로워 등을 이용해 얼음을 녹인 뒤 작업해야 한다. 뜨거운 물은 급격한 온도차로 인해 유리창이나 도장에 변형을 일으킬 수 있어 자제해야 한다. 마음이 급하다고 실수를 하면 후회를 하게 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영하의 날씨에는 야외세차장은 이용하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세차 후 말리기
겨울 세차는 닦는 것만큼 말리는 것도 중요하다. 물기와 먼지가 함께 얼어 생긴 얼룩은 제거하기 어렵기도 하고, 도장면에 쉽게 손상을 주게 됩니다. 드러난 표면은 물론, 도어나 트렁크 등 틈새도 평소보다 더 드라잉 작업을 꼼꼼히 해야 합니다.
하부 세차는 필수
눈길을 달렸다면 빠른 기간에 하부 세차가 필요합니다. 염화칼슘 등 제설제에 포함된 염소 성분은 금속부를 빠르게 부식시키고 형태를 망가뜨리기 때문입니다. 세차장에 하부 세척 장비가 없다면, 고압세척기로 차체 하부와 휠, 브레이크 구성품 등을 꼼꼼히 씻어내야 합니다. 비가 자주 오는 여름보다 겨울철 세차가 더 중요한 이유인데, 겨울철의 자동차 관리는 더욱 신경을 써야 합니다.
전기차도 하부 세차 하자
전기차도 하부 세차는 필수입니다. 전기차의 경우 하부 세차를 망설이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데, 모든 전기차는 방수 기능을 갖춘 배터리셀 커버로 막혀있기 때문에 세차장 고압수로 충분히 세척이 가능합니다. 다만, 충전구와 모터룸 등 전선이 직접 노출된 부분을 반드시 조심해야 합니다.
댓글